반응형

git&github 7

깃허브 300mb 무시하고 push 하는 방법

https://github.com/kevin0181/git-chunker GitHub - kevin0181/git-chunker: A Python tool to automatically commit and push files to Git in 300MB chunks.A Python tool to automatically commit and push files to Git in 300MB chunks. - kevin0181/git-chunkergithub.com 위 깃허브 사이트에 들어가서auto_commit.py파일을 받는다 가장 상단 루트 폴더에 내부에 넣어놓고 py파일을 실행한다. 이미지처럼 37기가가 넘어가는 폴더도 순차적으로 300mb내외로 계산해서 커밋 푸쉬해줘서 올릴 수 있다.

git&github 2025.09.02

깃허브란?

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한 뒤 그 컴퓨터안에서 커밋을 저장하는 것을 우리는 지역 저장소(local repository)라고 부른다. 만약 실수로 지역 저장소를 삭제한다면 그동안 작업물이 사라진다. 즉 이런 작업물을 지역 저장소에만 저장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하는 컴퓨터가 아닌 다른곳에 저장 공간을 마련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원격 저장소이다. 원격 저장소란?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서 만든 저장소를 말한다.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백업'과 '협업'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규모가 큰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다른 사람과 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원격 저장소의 역활이 중요하다. 원격 저장소는 직접 구축할 수 있지만 유지비용이 많이든다. 그래서 인..

git&github 2020.06.30

git bash 작업트리에서 수정한 파일 되돌리기

이러한 vim 파일이 있다. 수정된 파일이 아직 스테이지에 올라가 있지 않고, 작업트리의 변경사항을 취소하려면 restore을 사용하라고 적혀있다. 그러면 작업트리에서 수정한 파일이 변경사항이 취소된다! 또한 스테이지에서 내리고 싶다면 git restore --staged 이라고 치면된다. commit 된 파일 을 내리고 싶다면 git reset HEAD^ 를 치면 된다.

git&github 2020.06.29

깃&깃허브 깃 명렁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윈도우에서 폴더를 리눅스에서는 '디럭터리' 라고 부른다. 리눅스에서 물결 표시는 홈디럭터리에 있다는 의미이다. 명령어 설명 pwd 현재 위치의 경로 ls 디렉터리와 파일 이름이 나옴 clear 화면 정리 -l 상세정보 -a 숨긴파일과 디렉터리 -r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t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 내림차순 cd 디렉터리 사이를 이동할때 cd .. 현재위치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홈 디렉터리로 돌아간다. mkdir 디렉터리 생성 rm 디렉터리 삭제 rm -r 하위 디렉터리와 함께 삭제 vim 편집기 생성 L.A vim 상태에서 입력모드로 변경 :wq w 는 저장 q는 종료 cat 텍스트 문서 내용 확인 cat 파일1,파일2,파일n 파일 n개를 차례로 연결해서 새로운 파일 생성 cat 파일1..

git&github 2020.06.27

깃 이란??

1. 버전 관리 깃은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언제 수정했는지, 어떤 것을 변경했는지 편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버전관리 시스템이다. 2. 백업하기 파일이 유실되기 전에 현재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다른 컴퓨터에 복제 하는것. 이때 백업 공간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가 있는데, 이런 서비스가 깃허브 이다. 3. 협업하기 깃을 사용하여 팀원들이 파일을 편하게 주고받으며 일을 할 수 있다. 깃 프로그램 종류 -깃허브 데스크톱 GUI로된 깃 온라인 저장소 서비스이다, GUI로 되어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토너스 깃 토너스깃은 윈도우 전용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탐색기의 빠른 메뉴에 추가되는 프로그램이다. -소스트리 깃의 기본 기능부터 고급 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커맨드 라인 인터페..

git&github 2020.06.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