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개요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또는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를 네트워크라고한다. 정보 전달 시에는 약속한 규칙에 따라야 하는데 이를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WAN
광대역 네트워크
- LAN에 비해 전송 거리가 넓음.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함
- LAN 대비 에러율이 높고 전송 지연이 큼
LAN
근거리 네트워크
- 한 건물 또는 작언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임
1. WAN(Wide Area Network)
국가, 대륙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거리에 제약이 없으나 다양한 경로를 지나 정보가 전달되므로 LAN보다 속도가 느리고 에러율도 높다. 전용 회선 방식은 통신 사업자가 사전에 계약을 체결한 송신자와 수신자끼리만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며, 교환 회선 방식은 공중망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선로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1) 회선 교환 방식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이 된다.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대역폭이 고정되고 안정적인 정송률을 확보할 수 있다.
2) 패킷 교환 방식
패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패킷이란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각각의 패킷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OSI 7계층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계층 표현 모델이다.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기능을 제공한다. 1계층인 물리 계층부터 7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정의되어 있다.
네트워크 주요 장비
1. 허브, 리피터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장비이다. 리피터는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신호가 약해지지 않고 컴퓨터로 수신되도록 한다.
2. 브리지, 스위치
브리지와 스위치는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이며 두 개의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들어 준다. 스위치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며, 브리지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다. 브리지는 포트들이 같은 속도를 지원하는 반면, 스위치는 각기 다른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제공하는 포트 수가 수십, 수백 개로 2~3개의 포트를 제공하는 브리지보다 많다. 브리지는 Store and Forwarding 전송 방식만을 사용하나, 스위치는 Cut Through 와 Fagment Free 방식을 같이 사용한다.
- Store and Forwarding : 데이터를 전부 받은 후 다음 처리를 하는 방식
- Cut Through :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전송 처리하는 방식
- Fragment Free : 위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3. 라우터
라우터는 망 연동 장비이다. PC 등의 로컬 호스트가 LAN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WA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WAN에 접근하도록 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경로 설정을 하여 원하는 목적지 까지 지정된 데이터가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공부 > 응용SW기초기술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핵심 알고리즘 파악(응용SW기초기술활용) (0) | 2020.04.22 |
---|---|
네트워크 프로토콜 파악(응용SW기초기술활용) (0) | 2020.04.22 |
데이터베이스 관리(응용SW기초기술활용) (0) | 2020.04.22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활용(응용SW기초기술활용) (0) | 2020.04.22 |
데이터베이스 종류 및 선정(응용SW기초기술활용) (0) | 2020.04.22 |